상세 컨텐츠

LIFE

본문 제목

광복 80주년 기념, 파라다이스그룹 임직원과 함께한 815런

2025. 8. 20.

본문

 

광복 80주년 기념, 파라다이스그룹 임직원과 함께한 815런

 

8월 15일 광복절은 우리 민족이 일제강점기에서 해방되어, 자주와 자유를 되찾은 뜻깊은 날입니다. 올해는 특히 광복 80주년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렸는데요. 파라다이스그룹도 그 뜻을 함께하며, 국가를 위해 헌신한 독립유공자와 후손들을 위한 단순 후원을 넘은 특별한 나눔을 실천했습니다. 파라다이스 임직원들이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인근 8.15km를 달리며 애국지사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되새겨 보는 시간을 가진 것인데요. 뜨거운 열기로 가득했던 ‘815런’의 생생한 현장을 전해드립니다.

 

 

광복 80주년 기념, 파라다이스그룹 임직원과 함께한 815런 

독립 유공자와 후손의 따뜻한 보금자리를 위한 파라다이스의 후원


▲ 파라다이스그룹이 전달한 8,150만원의 기부금 증서를 들고 있는 가수 ‘션’

 

파라다이스그룹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러닝 캠페인 ‘815런’에 함께했습니다. 가수 션이 광복절 당일 81.5km를 달리는 것으로 알려진 이 캠페인은,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들을 위한 기부 러닝 행사입니다. 파라다이스는 지난 2023년부터 매년 815만 원을 후원했으며, 올해는 80주년의 의미를 기려 10배 확대한 8,150만 원을 한국해비타트에 전달했습니다. 국가를 위해 헌신한 애국지사와 그 가족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하는 마음을 담은 것인데요. 이 후원금은 이후 독립유공자 후손들의 주거환경 개선에 사용되어 따뜻한 보금자리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광복 80주년 기념, 파라다이스그룹 임직원과 함께한 815런 

역대 최다 참여자의 뜨거운 열기로 가득했던 2025 815런 현장


▲ < 2025 815런 잘될 거야, 대한민국> 행사 현장

 

서울 상암 월드컵경기장 평화광장이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열린 ‘2025 815런’ 행사 참여자들로 가득 채워졌습니다. 올해는 오프라인 행사장에 모인 4,000명을 포함해 역대 최다인원인 19,450명이 함께해 광복의 의미를 나눴는데요. 다른 장소에서도 참여 가능한 버추얼런 참가자들은 3.1km, 4.5km, 8.15km 중 원하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어 속도와 방식은 다르지만 한 마음, 한 뜻으로 의지를 모았습니다. 

경기장 주변은 이른 오후부터 모여든 참가자들로 북적였습니다. 광복절을 상징하는 티셔츠와 모자를 착용한 러너들이 곳곳에서 인증 사진을 남기며 활기찬 분위기를 자아냈는데요. 본격적인 달리기에 앞서 진행된 가수 션, 수향 등의 무대 공연으로 현장 열기는 뜨겁게 달궈졌습니다.

 

 

파라다이스그룹 임직원과 함께한 815런, 광복 80주년의 특별한 발걸음

광복절 8.15km 달리기에 참여한 파라다이스 임직원들 


▲ 815런 참여를 위해 준비 운동중인 파라다이스 임직원들

 

파라다이스그룹 임직원들도 시민 러너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8.15km 코스를 달리기 위한 준비를 마쳤습니다. 무더운 여름 햇볕 아래에서도 서로를 격려하며 달리는 발걸음에는 국가 유공자와 그 후손들을 향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이 묻어났습니다. 코스 곳곳에서 들려온 박수와 응원은 임직원들에게 큰 힘이 되었고, 러닝 내내 밝은 표정을 잃지 않는 모습에서 행사에 임하는 진심이 전해졌습니다. 

 

▲ 815런, 8.15km 코스 완주를 위해 러닝 중인 파라다이스 임직원들


이날 임직원들은 하나가 되어 달리는 과정 속에서 광복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몸소 느끼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결승선에 도달하기까지 모두가 흘린 땀방울은 파라다이스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와 연결되어 큰 울림과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함께한 이번 ‘815런’은 과거의 희생을 기억하고 오늘의 자유를 되새기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파라다이스그룹은 이번 행사의 후원과 러닝 참여로 진정성 있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했는데요. 앞으로도 파라다이스는 임직원들과 함께 의미 있는 나눔 실천을 꾸준히 이어갈 예정입니다.

 

 

 

 

이런 포스트는 어떠세요?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