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TERN PLAY 한국의 문양
전통 직물을 소개함에 있어 한국의 문양을 빼먹을 수 없습니다. 전통 장신구를 비롯하여 직물이 사용되는 거의 모든 곳에 문양을 새겼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문양은 조선시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다양한 문양들이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정형화된 규칙을 따르던 고려시대의 형식에서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전통 문양은 각 문양에 담긴 의미가 다른 만큼, 문양의 종류 또한 굉장히 다양한데요.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문양이라고 할 수 있는 연화문, 운문, 색동에 담긴 의미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고결함의 상징, 연화문 연화문은 조선시대에 가장 많이 사용된 꽃무늬 종류 중 하나로 장식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고결함을 상징합니다. 연꽃은 생명의 창조, 번영의 상징과 더불어 청결과 순결의 상징물로도 여겨졌는데요..
ART
2016. 9. 28. 08:00